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5인 미만 사업장도 노동법 지켜야 할까요? 사장님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2가지

by 미아보호자 2025. 5. 3.

소규모 가게나 작은 사업장을 운영하시는 분들,
“우리 직원이 5명도 안 되는데 근로기준법까지 지켜야 하나요?”
한 번쯤 이런 고민 해보신 적 있으시죠?

근로기준법은 모든 사업장에 똑같이 적용되지 않아요.
맞아요, 5인 미만 사업장은 일부 예외 조항이 있긴 해요.
하지만!
그렇다고 아예 안 지켜도 되는 건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첫 번째로 많이 궁금해하시는 것!

“5인 미만이면 근로계약서 안 써도 되나요?”
아닙니다. 무조건 작성해야 합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은 5인 미만이라도 500만원 이하 벌금 대상이에요.
또, 퇴직금이나 주휴수당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의무적으로 지급해야 하고요.

👉 자세한 기준과 꼭 알아야 할 항목은 아래 내용 참고하세요.

 

"우리는 5인 미만이니까 근로기준법 안 지켜도 돼” - 정말 그럴까요?

5인 미만 사업장이라고 해서 노동법이 완전히 적용되지 않는 건 아니에요. 일부 조항들은 지키지 않을 시 벌금이나 형사 처벌도 가능해요. 꼭 알아야 할 근로계약, 주휴수당, 퇴직금, 부당해고

lifemoneyhub.com

✔️ 두 번째로 헷갈리는 질문!

“근로자의 날이나 어린이날에 일하면 수당 줘야 하나요?”
→ 이것도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일부 수당 지급 의무가 면제되긴 하지만,
‘공휴일=무조건 수당 없다’는 오해는 위험해요.
특히 대체공휴일이나 유급휴일 지정 여부에 따라 달라지니까,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 이 부분은 따로 정리해둔 글에서 쉽게 설명드렸어요.

 

5인 이하 사업장도 휴일 수당 줘야 할까? 근로자의 날·어린이날·대체휴일 기준 총정리

5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도 근로자의 날, 어린이날, 대체공휴일에 일하면 가산 수당까지 줘야 할까요? 사업주가 꼭 알아야 할 공휴일 근무 수당 지급 기준을 노동법 기준에 따라 쉽게 정리해 드립

lifemoneyhub.com

💬 마무리하며

법은 ‘몰랐다’고 해서 봐주는 게 아니에요.
특히 소규모 사업장은 노동분쟁 하나로도 사업이 흔들릴 수 있어서 더 조심해야 하죠.

혹시라도 “우리 사업장은 괜찮겠지” 생각하고 계셨다면,
오늘 이 글을 계기로 꼭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